현재위치 : > 뉴스 > 산업·IT·과학 > 자동차 · 부품 · 타이어

무협,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국내 도입해야…좁은 면적에 효율적

입력 2022-11-28 06:0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2022111301010006674

 

전기차 충전 인프라 부족 문제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국토면적이 좁은 국내 사정에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가 효율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된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8일 ‘전기차 배터리 스왑핑(Swapping)의 우리나라 도입 검토와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중국이 최초로 시작한 충전된 배터리와 사용한 배터리를 교체하는 전기차 배터리 스왑핑을 국내에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 정부는 2019년 배터리 스왑핑 산업을 녹색산업으로 지정하고 배터리 구독제를 촉진하면서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출시했다. 중국의 배터리 스왑핑 산업은 정부의 정책지원과 투자자본, 기술개발에 힘입어 이미 고도화 단계에 진입했다. 중국 내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는 2025년까지 매년 86%씩 증가해 192만대에 달할 전망이다.

특히 중국의 배터리 교체식 전기상용차의 경우 2025년까지 연평균 98%씩 성장해 전체 신재생 상용차의 3분의 1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중신증권은 배터리 스왑핑 산업의 수익성이 승용차보다는 상용차에서 더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승용차의 손익분기점은 교환소 이용률 20%, 일일 60회 교체인 반면, 상용차는 교환소 이용률 10%, 일일 24회 교체로 승용차의 절반 이하 수준이다.

지난해 중국의 배터리 스왑핑 시장규모는 45억위안(약 8400억원)으로 2025년에는 1000억 위안(약 18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실제로 지난해부터 배터리 충전소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중국 니오(NIO)는 본격 운영 2년 만에 흑자 전환이 예상되는 등 사업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배터리 스왑핑은 효율적인 국토 활용 및 전력망 관리, 배터리의 안정성 제고, 수명 연장, 폭발 위험 관리, 재사용·재활용 촉진 등의 장점이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배터리 규격 및 결합방식 표준화 작업을 위해 기업 간 전략적 의사결정과 대규모 자본투자가 필요해 대기업 중심의 비즈니스가 될 수 있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무역협회 김희영 연구위원은 “교환소에서 배터리 교체뿐만 아니라 자동차 점검·수리, 관련 부품 판매 등 서비스업과도 연계하여 대·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면서 “정부에서 완성차, 배터리, 재활용 관련 이해관계자와 배터리 스왑핑의 실현 가능성을 타진하고, 표준화·효율화가 용이한 택시·버스 등부터 시범사업을 추진해 미비점을 보완해 나간다면 신속한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태준 기자 tjkim@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