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정치 · 정책 > 정책

정부, 사회복지·산업 등 AI 일상화에 7102억 투입…경제효과 연 310조 전망

과기정통부, 민·관 AI 최고위 거버넌스 ‘AI전략최고위협의회’ 출범

입력 2024-04-04 14:29 | 신문게재 2024-04-05 4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24042058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앞줄 왼쪽 여섯 번째)이 4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AI전략최고위협의회 출범식’에서 박상욱 과학기술수석(앞줄 왼쪽 일곱 번째), 최수연 네이버 대표(앞줄 왼쪽 첫 번째), 정신아 카카오 대표(뒷줄 오른쪽 네 번째),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운뎃줄 왼쪽 첫 번째), 김영섭 KT 대표(가운뎃줄 왼쪽 여섯 번째)와 함께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정부가 인공지능(AI)의 일상화를 위해 올해 7000억원 이상을 들여 사회복지·산업분야의 융복합 혁신을 추진한다. AI의 성공적인 안착이 이뤄질 경우 오는 2026년 연 310조원의 경제효과와 평균 1.8%포인트의 추가 경제 성장이 전망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서울 영등포구 전국경제인연합회 회관에서 민·관 AI 최고위 거버넌스인 ‘AI전략최고위협의회’를 출범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올해 AI 일상화를 위해 총 7102억원을 투입하고 69개의 과제를 수행한다는 방침이다.

주요 추진 과제는 △국민 일상 속 AI 행복 확산(18개 과제·755억원) △근로자 등 일터 현장 AI 융합·접목(24개 과제·2881억원) △공공행정 AI 내재화(14개 과제·1157억원) △국민 AI 활용 역량 제고 및 윤리 확보(13개 과제·2309억원) 등이다.

먼저 사회복지 혁신의 일환으로 정부는 9종의 소아희귀질환 치료 및 12개 중증질환 진단 보조를 위한 AI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예정이다. 자폐스펙트럼 조기 예측과 뇌 질환 치료를 위한 디지털 의료기기 개발도 지원한다.

장애 유형별(시각·청각·언어 등)로 정보통신 보조기기 5300대를 보급하고, AI를 활용한 맞춤형 가사도우미 매칭 시스템을 고도화해 돌봄 서비스를 강화한다.

이 밖에도 바이오·제조 등 산업 분야에 AI를 접목해 융복합 혁신을 추진한다.

예컨대 AI 플랫폼 고도화를 통해 신약후보 물질 발굴 등 신약 개발에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거나, AI 기반 신소재 개발 플랫폼을 구축해 소재 개발시간을 단축하는 식이다.

컨설팅업체 베인앤컴퍼니 연구·분석 결과에 따르면 제조·서비스업 등 전 산업 분야에 AI가 성공적으로 안착하면 추산되는 경제효과는 연 310조원(2026년 기준)이다. 연 매출 증대액과 비용절감액은 각각 123조원, 185조원으로 전망했고 연평균 1.8%포인트 수준의 추가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협의회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염재호 태재대 총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하고 민간 전문가 23명, 실장급 관료 7명 등 총 32명으로 구성했다. 민간 위원은 네이버·카카오·SK텔레콤 등 주요 기업의 대표와 학계 전문가들이 역임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AI시대 국민과 기업이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후속 조치를 추진하겠다”며 “오늘 협의회 출범이 AI 공존 시대 우리나라가 전 세계 1등 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정다운 기자 danjung638@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