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Money(돈) > 소비 잘하는 법

'초고령화' 사회 접어드는 한국 가계 소비도 바뀐다

식료품·의료비 지출 늘고 유아용품 시장 타격

입력 2015-05-06 09:0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대한민국이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 출산율 하락과 평균 수명 연장 등 원인으로 급속도로 고령화 되면서 오는 2026년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이 예상된다. 이처럼 인구구조가 변화되면서 가계 소비구조 또한 급격히 변하고 있다. 눈앞으로 다가온 초고령화 사회에 소비지출 품목 변화가 산업계에 어떤 영향을 가져올지 짚어봤다

 

 

21
 

 

◇한국 고령화 ‘메가급’ 진행속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13.1%를 기록, 고령화 사회 말기에 접어들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오는 2017년에는 고령 사회(14.0%)로 진입하고 2026년에는 20.8%로 초고령 사회에 접어들게 된다.

세계은행(WB)이 지난달 발표한 ‘변화하는 세계에 대한 적응’이란 제목의 아시아·태평양지역 경제현황보고서에서는 한국 인구의 고령화 속도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빠른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에서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고령화 사회)에서 14%(고령 사회)로 늘어나는 시간을 기준으로 한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는 베트남(15년)이었고, 한국과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등 6개국이 20년으로 예상됐다. 이어 일본의 고령화 속도가 25년, 중국·홍콩은 30년으로 한국보다 느렸다. 고령화가 이미 진행된 것으로 평가된 영국과 미국의 경우 고령화 속도는 각각 45년과 69년으로 나타났다.


◇고령가구 필수재 소비비중 높아져

그렇다면 고령화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떨까. 이는 고령화가 이미 진행된 선진국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 나라는 공통적으로 건강·교육, 금융, 부동산 임대, 레저, 통신, 정유화학 업종과 관련한 산업이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통상 개인은 근로 세대일 때 소비를 줄여 자산을 모으고 노후에 자산을 소비한다. 따라서 고령층의 소비성향이 중·장년층보다 높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사정이 조금 다르다. 자녀의 교육비 부담이 크기 때문에 중·장년층의 평균소비성향이 높고 고령층은 노후 대비가 충분하지 못해 평균소비성향이 비교적 낮아 연령에 따른 평균소비성향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품목별 소비 비중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20년 인구 효과에 따른 소비구조 전망’에 따르면 고령층의 경우 소득 여건에 따라 소비를 결정하는 선택적 소비의 비중이 낮은 반면 필수재의 소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소비구조 변화를 살펴보면 60대 이상의 고령 가구는 식료품·비주류음료, 주거·수도·광열비, 보건 등의 소비 지출 비중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된다. 주거·수도·광열은 2013년에 소비지출 비중이 11.6%에서 2020년 12.2%로 0.6%포인트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의 평균 연령 증가로 건강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늘어 보건 및 의료에 대한 지출도 빠른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보건관련 소비지출 비중은 2013년 기준 6.8%에서 2020년 7.2%로 0.4%포인트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GDP(국내총생산)대비 의료비 지출은 2000년 4.2%에서 2012년 7.3%까지 증가했다. 미국과 일본의 GDP대비 의료비 지출이 각각 16.3%, 9.9% 수준임을 감안하면 우리나라의 의료비지출 증가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출산율 감소로 유아용품 관련 시장은 타격이 예상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은 2001년 이래 13년 동안 ‘초저출산(합계출산율 1.3명 미만)’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에 관한 지표는 국내 분유시장 감소세에서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매일유업에 따르면 국내 분유 시장 규모는 2012년 4970억원에서 지난해 4500억원으로 10% 가량 줄어든 데 이어 올해도 4100억원 정도로 9% 가량 줄어들 전망이다. 



◇ 노인 빈곤율 OECD 최고…대책 시급

전문가들은 고령화에 따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 입을 모으고 있다. 특히 노인층의 경제적 여력이 약화되는 현 추세에 비춰 노후 소득보장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2011년 기준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의 빈곤율(중위소득 50%미만)은 49%로 OECD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며 평균인 13%를 크게 상회한다.

정년이 보장되지 않아 비자발적인 조기은퇴가 확산되고 있으며 국민연금 가입률이 높지 않고 급여액 수준도 낮아 노후 소득보장이 이뤄지지 않는 게 현실이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인구 고령화로 보건지출 증가가 불가피하므로 고령 가구의 보건비 부담 경감을 위한 의료정책 도입이 필요하다”면서 “4대 중증질환 보장 강화, 3대 비급여 제도개선 등 의료비 부담 경감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복지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노인 빈곤층 해결을 위한 제도 수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박효주 기자 hj0308@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