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오피니언 > 브릿지칼럼

[브릿지 칼럼] 베이비부머 은퇴를 바라보며

입력 2022-07-13 14:12 | 신문게재 2022-07-14 1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2019070901010005675
전영수 한양대 국제대학원 교수

시나브로 베이비부머의 화려한 시절이 저문다. 인생시계의 자정을 향해 뚜벅뚜벅 걷는다. 해질녁에 달했기에 소회도 품평도 잦다. 아쉬움과 시원함이 교차한다. 당분간 베이비부머의 노년진입은 한국사회의 주류담론일 확률이 높다. 덩치가 큰데다 부머(Boomer)답게 영향력도 상당해서다. 실제 1955~75년생인 1700만 베이비부머의 맏형부터 하나둘 65세로 들어선다. 올해가 제도상 노년인구로의 진입원년이다. 2~3년 후 초고령사회(65세이상 인구가 전체인구 20%인 사회)에 닿는다면 거대한 베이비부머 숫자 때문이다. 해서 노년은 많고, 현역은 주는 인구변화의 후폭풍은 지금부터가 본격적이다.


은퇴는 삶의 분기점이다. ‘현역→노후’와 ‘부양→돌봄’의 전환을 뜻하는 대형이벤트다. 이런 생애주기에 닿는 거대인구의 동시등장은 새로운 풍경이다. 늙어가는 국가로의 본격데뷔를 뜻한다. 문제는 낯선 현상답게 새롭게 떠오를 갈등거리가 출현할 가능성이다. 늙음으로의 경착륙 증가확대는 사회문제일 수밖에 없다. 선행의 초고령사회를 보건대 기우는 아니다. 더 뛰고 싶은데 연령도달을 이유로 강판당하는 현실에 반발하거나 거부하는 경우가 적잖다. 노후준비가 덜 됐다면 더 그렇다. 일을 찾아 고전하는 사례도 많다. 일부는 고령발 사건사고의 당사자로 전락하는 불상사도 생겨난다.

이래서는 곤란하다. 베이비부머의 대량은퇴는 냉엄한 현실임을 받아들이되 사회 문제로 변질되지 않도록 접근하는 게 좋다. 개별차원의 준비는 물론 사회전체의 대응이 절실하다. 근로소득의 단절이 가장 큰 문제라면 고용모델을 재검토해야 한다. 정년연장 등 베이비부머의 적극활약을 도모하자는 얘기다. 정부가 돕고 기업이 나서면 못할 건 없다. 일자리쟁탈전 등 세대전쟁으로의 전선확대는 경계대상이다. 재정일자리 등 정부역할도 제한적이다. 지속가능성은 결국 시장·기업에서 비롯된다. 선진국처럼 계속고용·재고용을 필두로 전직·창업 등 고령근로형 환경조성이 필수다.

쉽진 않다. 임금피크제가 전제된 고령근로가 실험되나 실효성은 글쎄다. 인적자원으로 품어낼 기업대응은 제한적이다.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스럽다는 반응이 대세다. 장기근무로 숙련을 동반한 기업특수적 인적자원인데도 뾰족한 업무·역할부여가 어렵다. 후배로선 이런 선배를 대하기도 만만찮다. 촉탁형 베테랑의 눈치도 갈 곳을 잃는다. 성과대비 고임금을 호소하는 기업입장도 난처하다. 반면 고령근로는 피할 수 없는 시대흐름이다. 길어진 평균수명과 경직적 정년제도는 무려 30~40년의 갭을 갖는다. 간극축소를 위한 돌파구조가 필수다. 누구든 해당되기에 당사자성도 크다.

요즘 화두로 급부상한 ESG트렌드와도 맥이 닿는다. 사회(Social)측면에서 고령근로의 확대성과는 반영된다. 사회문제 해결이 이익창출과 함께 경영활동의 핵심미션으로 제도화되기에 베이비부머의 고령근로는 확장기반을 갖췄다. S를 구성하는 고용평등·다양인재·인권보호·노동강화 등 맞춤형 성과창출에도 제격이다. 남녀노소의 고용차별·노동대접을 요구하는 세계적 뉴패러다임답게 선제·적극적인 미션실행은 불가피하다. ESG 공시의무화가 시작되면 고령근로 등 다양한 고용모델은 회피할 수도 없다. 결국 생산인력·소비고객으로 손색이 없는 베이비부머는 사회문제가 아닌 성장기회로 보는 게 맞다. 지금처럼 베이비부머를 잉여화한 대접은 틀렸다. 버려서는 더더욱 곤란하다.

전영수 한양대 국제대학원 교수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