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오피니언 > 사설

[사설] K-배터리 중국산 흑연 탈피, 풀어야 할 숙제다

입력 2024-05-07 14:01 | 신문게재 2024-05-08 1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전기차 배터리 음극재의 핵심 소재인 흑연은 K-배터리의 약점이다. 수입 의존도 90%에 달하는 중국산 흑연이 이를 말해준다. 천연흑연만으로 치면 전체 97%에 달할 만큼 의존도는 절대적이다. 중국산 흑연이 들어간 전기차도 미국 정부의 보조금을 받게 된 것에 ‘숨통이 트였다’고 표현하는 이유다. 한국 전기차·배터리 기업이 미국 시장에서 일단 한시름 놓았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2년간의 시한부다. 그만한 숙제 풀 시간은 벌었다.

외국 우려 기업(FEOC)인 중국 측의 흑연을 조달해도 2026년 말까지는 보조금을 받기 때문이다. 이 보조금에 너무 안도해서도 안 된다.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이 전기차 전환 시간표를 재조정하는 지금이 중요하다. 기술선도국 지위를 놓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배터리 산업은 전기차 수요 혹한기를 맞는다 해서 주춤거려선 안 될 핵심 성장동력이다.

시야를 미국 쪽에 더 맞춰보면 미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 전기차 43종 가운데 31종(72%)이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 제품을 탑재한 것이다. 지난 1·4분기 3사 합산 영업실적이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할 정도의 급격한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이지만 흔들리지 않아야 할 이유가 여기 숨어 있다. 미국의 중국산 흑연 제재 완화 국면을 전기차 신차 라인업 확대 등에 오히려 잘 활용할 방도를 찾아내야 한다.

원산지 추적이 사실상 불가능한(impr acticable-to-trace) 배터리 소재로 미국이 규정한 중국산 흑연은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서 지배적인 지위를 점유하고 있다. 세액 공제를 통해 전기차 보급을 늘린다는 미국의 정책 의미와 의지가 퇴색할 수도 있는 지점이다. 이뿐 아니다. 2031년까지 배터리에 일정비율 이상의 재생원료(순환원료)를 사용케 한 유럽연합(EU) 환경 규제에도 맞추지 않으면 수출이 어려워진다. 우리 기업의 EU내 시장 지위가 흔들릴 가능성이 작을지라도 재활용 시장 등 순환경제에 대한 관심도는 높여야 한다.

배터리는 D램, 낸드플래시, OLED 등 주력산업들처럼 승자독식에 익숙한 장치산업이다. 우리 업계가 생산한 배터리 10개 중 8개 이상을 해외에 파는 우리로서는 미국 대선, IRA 세부 조항 변경 가능성 등 불확실성에 유의하면서 핵심광물 공급망 확보를 위해 기업과 정부가 손을 잡아야 한다. 대체품으로 실리콘 음극재가 주목받지만 개발과 양산에 시간이 걸린다. 비싼 가격도 숙제다. 어렵지만 미국이 문제 삼지 않을 내후년 말까지가 중국 탈피를 완결해야 할 시간이다.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