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오피니언 > 브릿지칼럼

[브릿지 칼럼] 과거를 잊은 일본

입력 2023-04-10 14:01 | 신문게재 2023-04-11 1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clip20230409134848
이해익 경영 컨설턴트

윈스턴 처칠이 “과거를 잊는 국가는 미래를 갖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3월16일 도쿄에서 한·일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총리는 반성·사과없이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을 계승한다”는 기존 입장만을 반복했다.

이미 회담전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은 “일본제철의 이춘식 할아버지, 그리고 미쓰비시 근로정신대 소송의 양금덕·김성주 할머니 등 생존자의 제3자 변제에 반대하는 뜻을 전달하려고 행정안전부 산하 지원재단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민심도 거칠해지고 있다.

3월 27일 한·일외교가에 따르면 일본문부과학성은 28일 오후 초등학교 3~6학년 교과서 검정을 승인한다고 밝혔다. 조선인과 중국인을 ‘강제로’라는 표현이 사라지며 ‘끌려와’도 ‘참여해’로 바뀔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독도를 일본영토라는 것도 수정되지 않는다고 한다. 일본의 역사왜곡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3월 31일 한국갤럽의 3월말 여론조사 발표가 있었다. 윤 대통령의 긍정평가는 직전보다 4% 하락한 30%로 전락했다. 부정평가는 2% 오론 60%였다. 부정평가중 외교(21%), 일본관계·강제동원배상(20%) 등이 큰 이유였다. 민심을 어기면 정치는 무너진다.

2차세계대전 전범국가인 독일과 일본은 서로 크게 다르다. 패전으로 몰린 히틀러는 전속사진작가이면서 연인이었던 에바 브라운과 벙커에서 1945년 4월 29일 결혼, 4월 30일 에바는 청산가리로 자살, 히틀러는 권총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이렇게 뉘른베르그 국제군사재판소에 따른 수많은 전범자들이 사형과 종신형 등 처절한 처벌을 받는다. 또 동독과 서독으로 쪼개져 댓가를 치뤘다. 당연히 전범 나치 일당을 죄악시하여 교육받고 또 나치에 동조했던 독일국민들도 비판 받으며 살았다. 이러면서 서독 총리였던 빌리 브란트는 1970년 폴란드 바르샤바 게토기념비에서 비를 맞으며 무릎을 꿇고 울면서 사죄했다.

이에 비하면 일본은 미국의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가 일본인을 분석한 유명저서인 ‘국화와 칼’(초판 1946년)에서 “일본인은 기회주의자”라는 표현을 책에서 여러번 강조했다.

1943년 11월 연합국 수뇌들이 모여 한국의 독립 등과 전범국가 분할점령과 전범 처벌을 선언한 카이로선언에 이어 1945년 7월 포츠담 선언에서도 전범자들의 처벌을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히로히또는 도쿄극동국제전범재판소의 피고석에 서지 않았다. 프랑스에서 파견된 베르나르 앙리판사는 “일본국왕을 심판하지 않았다”며 도쿄재판의 한계를 지적했다. 재판내내 미군 소속 조지프 키넌 수석검사와 신경전을 펼쳤던 호주출신의 윌리엄 웨브재판장(수석 판사)은 소감을 묻는 기자들에게 “히로히또에게 반드시 실형을 선고했어야 했다”고 한탄했다.

이런 것뿐만이 아니었다. 히로히또 전범면책은 일본인들 스스로를 전쟁피해자로 여기게 만들었다. 미군공습과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떨어진 원자폭탄으로 생명과 재산을 잃었다는 ‘피해자 기억’이다. 역사를 왜곡하는 ‘기회주의자’들이라는 미국의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의 평가에 공감할 수밖에 없다. 역사왜곡은 미래창조를 비튼다.

 

이해익 경영 컨설턴트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