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Health(건강) > 생활건강

[창간1주년] 동네 병원을 '주치의'로 활용… 만성질환 관리해라

[은퇴 후 연장전 30년.. 노후 어떻게 보낼까?]

입력 2015-09-17 07:0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한국은 현재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12.2%에 달하는 고령화 사회다. 한국 사람 10명 중 한 명은 65세 이상의 노인이라는 뜻이다.

한 사회에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 당연히 의료비 지출도 늘어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의료비는 19조8000억원으로 건강보험 총진료비 54조4000억원의 36.5%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10.8%나 된다. 전체 인구의 12%에 불과한 노인들이 전체 의료비의 36%를 쓰고 있는 셈이다. 이런 추세라면 머지않아 노인의료비의 비중이 전체 의료비의 50%에 육박하게 된다.

 

13


그러나 굳이 이런 통계를 들지 않더라도 건강은 ‘잘 살기’위한 필수조건이다. 속된 말로 ‘벽에 x칠’하며 백 살까지 사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말 그대로 병 없이 장수하는 것이 중요한 시대다.

65세 이상의 고령자의 건강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종합적인 진단과 처방이다. 젊은 시절에는 어떤 특정한 질병에 의해 건강이 악화되지만, 나이가 들면 노화에 의해 모든 신체기관의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어떤 특정 분야의 건강관리보다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한 종합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하다는 게 대다수 의료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에 대해 유태욱 대한가정의학과 의사회장은 “노인은 복잡하고 다양한 건강의 문제를 안고 있는데 지금의 의료서비스는 단과 위주라서 효과적인 통합 관리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고령화 시대를 맞아 노인에게 제대로 된 포괄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윤종률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교수는 “현재의 종합병원 개념에서 벗어나 지역병원이 주치의 개념으로 협의체가 돼 만성질환관리에 도움을 줘야 한다”면서 “각 지역사회의 보건소, 복지관, 2·3차 의료기관들과 협조해 지속적 건강관리(long term care)를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같은 ‘지속적 건강관리 시스템’이 자리잡지 않은 상황에서 노인들이 효과적으로 건강과 만성질환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지역병원을 주치의처럼 활용하라고 권한다. 무턱대고 참다가 병을 키워 큰 병원으로 갈 것이 아니라 자신의 만성질환과 건강상태를 잘 아는 지역 내과나 가정의학과, 보건소를 정기적으로 방문해 도움을 받으라는 뜻이다.

유 회장은 “노인 건강관리를 위해 국가에서 자격을 주는 노인주치의제도가 필요하지만 아직 도입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종합 건강 진단을 받은 후에 이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내과나 가정의학과를 정기적으로 방문해 만성질환과 그에 따른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한다.

더불어 지방자치단체의 운동 등 노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필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연수부의 이영희 차장은 “전국 228개 기초자치단체 대부분 노인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지자체의 노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등 단체활동에 적극적으로 임하면 노인 우울증, 노인성 치매 등 불시에 들이닥치는 노인성 질환을 상당부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한다.


김보라 기자 bora6693@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